1. 개요

- 23.05.17 지니언스 시큐리티 센터(이하 GSC)는 북한연계 해킹 그룹 APT37 의 새로운 사이버 위협 활동을 발견

> 대북 분야 주요 인사들은 북한연계 해킹 그룹의 사이버 위협으로 부터의 나름의 전략으로 맥북 사용을 선호

- 공격 대상의 비밀번호 탈취를 위해 피싱 공격과 정보 수집 수행 후 해당 과정에서 확인된 웹 브라우저 및 OS 정보를 활용해 MacOS 기반 악성파일 공격을 수행

> MacOS 공격은 대표적으로 정상 서비스로 위장한 솔루션, 불법 소프트웨어 자료실, MS Word 문서 메크로 등

> 해당 사례의 경우 이메일 본문 내 MacOS 용 ZIP 파일 다운로드 링크를 포함하여 클릭을 유도하는 스피어 피싱

※ MacOS 이용자의 일반적인 경험과 확장자 숨긴 조건, 아이콘만으로 파일 유형을 판단해 접근하는 맹점을 이용

 

2. 주요내용

2.1 피싱 메일

- 공격자는 고려대 일민국제관계연구원에서 운영하는 온드림 글로벌 아카데미 담당교수를 사칭

- 북한 인권 제도 및 실태 주제의 특강을 요청하는 메일 발송

> 이메일 제목 예시: [특강 의뢰] 6.30(금) 고려대 일민국제관계연구원 - 온드림 글로벌 아카데미 등

> 고려대 일민국제관계연구원은 공식 사이트를 통해 "[알림] 연구원 직원 사칭 사이버공격(스피어피싱) 메일 주의" 게시

 

- 강의 의뢰에 대한 수락 의사를 회신할 경우 악성 링크가 포함된 안내 메일 발송

> 보안 메일 보기 버튼 클릭 유도구글 Gmail 계정 정보 탈취를 시도 

> 비밀번호 탈취에 실패하더라도 User-Agent 값으로 대상자의 OS와 웹 브라우저를 식별 가능

※ 관련 정보는 환경에 따른 우회 및 가용성, 무결성을 손상시키기 위한 맞춤형 공격을 설계하는데 활용

 

- R2P 국제회의 진행자료 파일로 위장 및 북한 인권 운동 홍보에 활용해 달라는 내용으로 첨부자료 열람을 유도

> 첨부자료명: '제 6 회 R2P 국제회의 진행자료.zip'

 

[사진 1] 공격 과정 요약

 

2.2 악성 동작

- '제 6 회 R2P 국제회의 진행자료.zip' 파일은 6개의 파일이 존재

> ‘제 6 회 R2P 국제회의.app’ 맥용 응용프로그램(번들)과 미끼용 JPG 사진 파일 5 개

※ 번들: 실행 코드와 해당 코드에 사용되는 리소스를 포함하는 표준화된 계층 구조를 가진 디렉토리

 

[사진 2] 제6회 R2P 국제회의.zip 압축 해제

 

- 일반적인 MacOS 환경에서 '모든 파일 확장자 보기' 기능이 해제 되어있어 아이콘만으로 파일 유형을 판단하도록 유도

> JPG 파일의 경우 확장자가 기본 설정에서 보이지만, APP 확장자는 보이지 않음

 

- 해당 번들의 패키지 내용을 보면 리소스내 ‘AppIcon.icns’ 애플 아이콘 이미지가 HWP 문서로 지정

> 정상 ‘제 6 회 R2P 국제회의.hwp’ 문서를 내부에 포함해 악성 파일이 실행될 때 함께 보여주는 용도로 사용

 

[사진 3] 제 6 회 R2P 국제회의.app 내용

2.2.1 Image 파일

- 파일 내부에는 curl 명령이 삽입되어 있어 C2 서버에서 파일을 다운로드하여 실행

> 삼성 관련 도메인으로 위장하고 있으며, 현재는 민관 협력을 통해 국내 접속을 차단한 상태

> ‘pathForResource:ofType:’ 함수를 통해 번들 내부 리소스 영역에 존재하는 ‘제 6 회 R2P 국제회의.hwp’ 정상 문서를 실행하여 의심 최소화

 

[사진 4] Image 파일 내 curl 스크립트

① curl

- samsunggalaxynote[.]com에서 whatnew 파일을 tmp 경로에 ‘com.apple.auto_update’ 이름으로 다운로드해 저장

옵션 설명
-s 에러가 발생가 있더라도 출력하지 않음
-f HTTP 오류에 대한 출력이 없는 Fail fast
-L 서버에서 HTTP 301 이나 HTTP 302 응답이 왔을 경우 redirection URL로 이동
-o 다운로드한 데이터의 저장 위치 지정

 

② xattr

- MacOS에서 파일이나 디렉터리에 속성 내용을 관리하는 명령어

- 다운로드 경로 등의 정보를 제거

옵션 설명
-c 확장속성(Extended Attributes) 전체 삭제

 

③ chmod

옵션 설명
+x 파일 실행 권한 부여

 

④ rm

옵션 설명
-r 하위 파일까지 모두 삭제
-f 삭제할 파일이나 디렉터리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강제 삭제

 

2.2.2 com.apple.auto_update 파일

- Image 파일과 동일한 C2 서버로 접근해 ‘singlework’를 다운로드하여 '.loginwindow'로 저장

> ‘/Users/%@/Library/LaunchAgents’ 경로에 '.com.apple.windowserver.plist' 파일을 숨김속성으로 생성

> RunAtLoad(로드시 실행), KeepAlive(실행 상태유지) 오브젝트 키 옵션을 활성화(true)

> ‘launchctl remove com.google.keystone.xpc.server’ 명령을 수행하여, 구글 크롬 관련 파일 삭제를 시도

 

[사진 5] com.apple.auto_update 내부 문자열 화면

2.2.3 .loginwindow 파일

- 앞서 확인되었던 동일한 C2와 통신을 수행

> Temporary Item 경로에 현재 날짜와 시간, 프로세스 리스트, 이용자 정보, 아이피 주소와 네트워크 구성 등 다양한 시스템 정보(System Info)를 수집 및 텍스트 파일로 저장해 C2 서버로 전송을 시도

> ‘us’ 파일을 임시폴더(tmp) 경로에 ‘mdworker’ 파일로 다운로드 후 실행하여 추가 명령을 진행

 

[사진 6] .loginwindow 파일 내용

3. 이전 사례와의 유사도

- 과거 확인된 C2 주소와 동일한 C2 주소 사용

- 위장 파일에 삽입된 명령의 유사함

- 정보 탈취 대상 목록 파일의 유사함

 

4. 악성파일 제작 도구 노출

- C2 서버를 통해 바로가기(LNK) 악성파일 제작 도구가 노출

> MFC(Microsoft Foundation Class Library) 기반으로 제작
> 23.03.24 09:52 제작되어 현재까지 사용 중
> PDB 경로: C:\Users\JJJ\Desktop\tmp\MyEWork_Auto\Debug\MyEWork_Auto.pdb

 

[ 사진 7] LNK 악성파일 자동화 제작 도구

5. 참고

[1] https://www.genians.co.kr/blog/threat_intelligence_report_macos
[2] https://n.news.naver.com/article/005/0001617760?cds=news_my_20s

1. 개요

- 국정원에서 북한에 의한 국내 포털사이트 '네이버' 사칭 피싱사이트 포착

- 지난 5월 북한의 국내 포털사이트(네이버, 다음 등) 사칭 주의 이후 두 번째 발표

- 기존 피싱 공격과 달리 실제 네이버 화면과 동일하여 사이트 외관만으로 구분 불가

 

2. 주요 내용

- 그동안 단순히 네이버 등 로그인 페이지만 복제하여 사용자들의 로그인을 유도해 계정 및 개인정보 탈취

[사진 1] 과거 북한 김수키 해킹 그룹이 생성한 국책연구기관 로그인 피싱 페이지

 

- 하지만, 최근 포털사이트 메인화면을 완전히 복제한 피싱 페이지가 확인됨

> 국정원에서 네이버 메인화면을 완전히 복제한 피싱 페이지 확인

> 정상적인 네이버 주소(www[.]naver[.]com)과 주소가 다름 Ex. www[.]naverportal[.]com

[사진 2] 정상 포털 화면(좌) 및 피싱 포털 화면(우) 비교

 

- 포털 메인화면뿐만 아니라 증권, 부동산, 뉴스 등 자주 사용하는 세부 메뉴까지 동일

[사진 3] 정상 포털 화면(좌) 및 피싱 포털 화면(우) 비교

 

- 피싱 사이트로 추가적인 접속을 막기위해, 관련 기관과 공유 및 접속 차단 조치 진행

> 북한 피싱사이트 서버가 해외에 있어 해외기관과의 정보공유를 통해 활동을 추적 중

> 피해 차단을 위해 다각적으로 대응할 계획

[사진 4] 현재 피싱 사이트 접속 불가

 

- 국정원은 포털사이트 사용시 국민들의 주의를 당부

> 포털 사이트 주소를 집적 입력하거나, 즐겨찾기에 등록 후 사용하는 것이 안전

> 북한발 공격이 점점 교묘해지고 있어, 개인의 범위에서부터 주의 필요

 

3. 참고

[1] https://www.nis.go.kr:4016/CM/1_4/view.do?seq=236&currentPage=1&selectBox=&searchKeyword=&fromDate=&toDate=
[2] https://www.boannews.com/media/view.asp?idx=119121&page=2&kind=1 

1. 개요

- 북한 해킹조직들이 대한민국 국민들을 대상으로 무차별·지속적 해킹공격을 진행

- 국가정보원이 처음으로 北해킹공격 관련 통계를 공개하며 경각심 제고

※ 대한민국 대상 해킹공격 중, 2020~2022년에 발생한 북한으로부터의 사이버 공격 및 피해통계를 공개

- 북한발 공격은 이메일을 악용한 해킹 공격(74%), 취약점 악용(20%), 워터링 홀(3%), 공급망 공격(2%), 기타(1%) 순으로 집계

※ 국민 대부분이 사용하는 상용 메일을 통한 해킹공격을 한다는 것은, 국민 전체를 대상으로 해킹공격을 하고 있다는 뜻

 

2. 주요내용

- 북한은 해킹메일로 확보한 계정정보를 이용해 정보 탈취하며, 수발신 관계를 분석해 2~3차 공격대상을 선정 및 악성코드 유포 등을 수행

 

- 북한이 사칭한 기관 비율은 다음과 같음

> 일반적으로 발신자명을 먼저 확인하는 점에 착안해 주로 네이버, 카카오를 사칭

기관 네이버 카카오(다음) 금융, 기업, 방송언론 외교안보 기타
비중 45% 23% 12% 6% 14%

 

- 또한, 해킹 메일 제목은 다음과 같음

> 계정 정보, 회원 정보 등 변경 또는 이용제한 안내와 같이 계정 보안 문제를 주제로 피싱메일 발송

순서 해킹메일 제목
1 새로운 환경에서 로그인 되었습니다.
2 [중요] 회원님의 계정이 이용제한되었습니다.
3 해외 로그인 차단 기능이 실행되었습니다.
4 회원님의 본인확인 이메일 주소가 변경되었습니다.
5 알림 없이 로그인하는 기기로 등록되었습니다.
6 회원님의 메일계정이 이용제한 되었습니다.
7 [Daum]계정아이디가 충돌하였습니다. 본인 확인이 필요합니다.
8 [Daum]고객님의 계정이 충돌되었습니다.
9 [경고]회원님의 아이디로 스팸이 대량 발송되었습니다.
10 [보안공지]비정상적인 로그인이 감지되었습니다.

 

- 사칭 발신자명 및 사칭 메일주소

> 사용자들의 의심을 낮추기위해 '발신자명'과 '메일 제목'을 교묘히 변형

사칭대상 사칭 발신자명
네이버 - 네0|버 (숫자 0)
- 네O|버 (영어 O)
네이버
- 네이버
네이버
(주)네이버
- NAVER고객
‘ 네이버 MYBOX ’
카카오(다음) Daum 고객센터
-  Daum 보안
- Daum 고객지원
[Daum]고객센터
- 다음메일 커뮤니케이션
Clean Daum
-  '카카오팀'
- Daum 캐쉬담당자

 

구분 공식 메일주소 사칭 메일주소
네이버 네이버 account_noreply@navercorp.com - account_norply@navercop.com
- accounsts_reply@navercorp.com
- account_help@`navercorp.com
네이버 고객센터 help@help.naver.com - help@helpnaver.com
- help@help.naveradmin.com
- help@help.navor.com
네이버 메일 navermail_noreply@navercorp.com mail_notify@naver.com
no-reply@navecorp.com
- navermail_noreply@sian.com
카카오, 다음 카카오 noreply@kakaocorp.com - noreply@kakaocrop.net
- norepley@kakaocorps.co.kr
- no-reply@kakaocorp.com
다음 메일 notice-master@daum.net - notise-master@daurn.net
- notice-master@daum.nat
- notice-master@hanmail.net
카카오 메일 noreply_kakaomail@kakao.com - noreply-master@kakao.com
noreply@kakao.com
- noreply@kakaocrp.com

 

3. 사칭방법 및 대응방안

- 관리자를 사칭하며, 악성 링크를 삽입계정 입력 유도 및 정보 탈취

대응방안 참고
발신자 이름을 유사하게 흉내내므로, 아이콘 차이 확인
발신자 주소 확인

※ 공식 메일주소 - 사칭 메일주소 비교 표 참고
메일 내 링크 주소 확인
링크 클릭 후 표시되는 화면의 주소 확인

메일 무단열람 방지를 위한 2단계 인증 설정
일반적인 보안 규칙 준수 - 출처가 불분명한 파일, 링크 실행 및 클릭 금지 등

 

4. 참고

[1] https://www.nis.go.kr:4016/CM/1_4/view.do?seq=234&currentPage=1&selectBox=&searchKeyword=&fromDate=&toDate= 

[2] https://www.boannews.com/media/view.asp?idx=118493&page=1&kind=2 

1. 개요

- 2023.03.21 Zscaler사에 의해 북한 해킹 그룹 APT37(ScarCruft, Temp.Reaper)이 사용중인 Github 저장소가 발견

- 저장소에는 APT37 그룹에서 다양한 분야의 기업, 기관을 공격 하기위해 사용하는 파일들이 다수 존재

- CHM, HTA, HWP, MS Excel Add-in XLL, Macro-Based MS Office 등 공격 초기에 사용되는 피싱용 파일이 확인

 

2. 주요 내용

2.1 CHM 파일

- 악성 HTA 파일을 다운로드하는 CHM 파일 Decoy 파일압축한 파일 이용

HTA 파일 (HTML Application)
> 인터넷 브라우저 보안 모델의 제약 없이 실행되며,  "완전히 신뢰할 수 있는" 응용 프로그램으로 실행
> 따라서, 웹 브라우저의 보안을 우회하기 때문에, 공격에 자주 악용됨

CHM 파일 (Compiled HTML Help)
> 컴파일된 HTML 도움말 파일 형식
> 소프트웨어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온라인 도움말, 교육 가이드, 대화형 책 등에 이용

Decoy 파일

> 사용자들을 속이기위한 정상 파일로 위장한 악성 파

 

- Decoy 파일비밀번호가 설정되어 있으며, 해당 비밀번호CHM 파일 실행 시 확인 됨

> CHM 파일에는 C2 URL이 저장되어 있어, 실행 시 Mshta.exe를 통해 해당 URL로 접속

> 최종적으로 Chinotto PowerShell-based 백도어 설치

mshta.exe
> Microsoft HTML 응용 프로그램(HTA)을 실행하는 유틸리티
> mshta.exe를 활용해 파일 내 인라인 스크립트로 mshta.exe에 의해 실행될 수 있음

 

[사진 1] CHM 파일 내 비밀번호 및 악성 URL(C2)

2.2 LNK 파일

- LNK 파일의 경우 국내 기업의 로그인 페이지로 위장한 HTML 파일이 RAR로 압축되어 있음

> "html.lnk" 및 "pdf.lnk"와 같이 이중 확장자를 사용

> Mshta.exe를 통해 C2로 접속하여 Chinotto PowerShell-based 백도어 설치

LNK 파일 (Link)
>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사용되는 바로가기 파일

 

- 공격에 사용된 LNK 파일 분석 결과 동일한 가상 머신을 재사용한 것으로 확인됨

> 가상 머신의 Mac 주소 00:0c:29:41:1b:1c로 확인

[사진 2] LECmd를 사용하여 추출한 LNK 시스템 세부 정보

 

2.3 Macro-Based MS Office

- MS Office 파일에 내장된 매크로를 통해 MSHTA를 실행하고, Chinotto PowerShell-based 백도어를 다운

[사진 3] MSHTA를 실행하는 VBA 스크립트

2.4 OLE 개체가 포함된 HWP 파일

- Chinotto PowerShell-based 백도어를 유포하기 위해 OLE 개체 악용

> OLE 개체는 악성 PE 페이로드를 포함하며, 해당 페이로드를 통해 C2 접속 및 Chinotto PowerShell-based 백도어 다운

OLE (Object Linking & Embedding)
> 응용프로그램에서 다른 응용프로그램의 객체를 포함 또는 참조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
> 문서에 다양한 종류의 미디어 및 데이터를 쉽게 삽입할 수 있음

 

[사진 3] MSHTA 실행 및 백도어 다운로드 스크립트

2.5 MS Excel Add-in XLL

- 현재까지 APT37 그룹이 사용하는 방법 외 새로운 공격 방식 MS Excel Add-in 방식이 확인

> Add-in은 XLL 파일로, MS Excel 응용프로그램에서 추가 기능으로 동작하는 DLL

> Excel 응용프로그램과 통신을 위한 다양한 콜백함수(ex. xlAutoOpen())가 포함

- Office Add-ins platform
> Office 응용 프로그램을 확장하고 Office 문서의 콘텐츠와 상호 작용하는 솔루션을 구축할 수 있음
> HTML, CSS 및 JavaScript를 사용하여 MS Office를 확장하고 상호 작용할 수 있음

- 콜백함수
> 특정 이벤트에 의해 호출되는 함수

 

- 동작 방식은 다음과 같음

① 문자열 'EXCEL'을 통해 리소스 섹션에 저장된 Decoy 파일을 추출 및 저장

ex. C:\programdata\20230315_세종지원[.]xls

② XLS 파일에 내장된 URL로  MSHTA를 사용해  Chinotto PowerShell-based 백도어를 포함한 HTA 파일 다운

[사진 4] 악성 MS Office Excel 추가 기능의 xlAutoOpen() 서브루틴

3. 대응방안

① 불분명한 출처의 파일 등 실행 금지/주의 등 일반적인 보안 상식 준수

② "4. 참조" 내 확인되는 침해지표 보안 장비 등록 및 모니터링

 

4. 참조

 

The Unintentional Leak: A glimpse into the attack vectors of APT37 | Zscaler

An operational security failure by the North Korean threat actor - APT37, led to the discovery of many previously unknown tools and techniques used by them

www.zscaler.com

요약 - 북한 해커조직, Browser in the Browser 기술 사용 등 피싱 관련 기술 고도화
- 웹주소 표시줄에 실제 사이트의 주소가 표시, 화면으로 피싱 페이지 파악 불가
내용 - 과거의 피싱 공격은 타이포스쿼팅 이용
> 실제 주소와 유사한 주소를 사용해 눈속임
> 예를 들어 정상 주소가 google인 경우 공격자들은 g00gle 등으로 변경

- 최근 확인된 공격에서는 피싱 페이지의 주소 표시줄에 실제 사이트 주소가 표시됨
> 화면만으로는 피싱 페이지임을 알 수 없음
> 이를 이용한 Steam 계정 탈취, 금융기관 대상 피싱 등 악용 사례가 발견
> 대부분의 기업에서 사이트 접속 시 주소를 주의 및 확인해야 한다는 교육하는 것을 노린 공격

- 위조된 피싱 페이지는 실제 브라우저에서 제공하는 것이 아님
> 공격자에 의해 정교하게 제작된 CSS 코드로 확인
> 실제 피싱 사이트의 소스코드를 확인해보면 주소 표시줄에 나타나는 도메인과 파라미터를 지정하는 코드가 확인됨

- 해당 공격은 디자인을 통해 가짜 팝업창을 만들기 때문에 정상 팝업창과 달리 브라우저 밖으로 이동되지 않는 특성을 지님
> 일반 사원들은 관련 내용 숙지가 어렵기에 이메일을 통해 수신한 링크에서는 어떠한 형태로든 로그인 하지않도록 주의 필요
기타 - 브라우저 인 더 브라우저(Browser in the Browser, BitB)
> 2022.03에 새롭게 나온 피싱공격
> 브라우저 창 안에 또 다른 브라우저 창이 열린 것처럼 꾸며내어 사용자들을 속여 계정 정보를 알아내는 피싱 공격
> SSO(Single Sign On_한 번의 인증으로 여러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인증) 방식을 악용

> 동작방식
① 해커가 만든 피싱 사이트로 유인하기 위해 사용자에게 이메일 등에 링크를 포함하여 전송
② 사용자가 링크를 누르면 실제 사이트와 똑같은 혹은 유사한 피싱 사이트 접속
③ SSO 로그인을 위해 계정 정보 입력
※ 이때, 비밀번호가 틀리다는 알림을 띄워 여러번의 입력하도록 유도_비밀번호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
④ 입력한 계정 정보가 공격자에 전송 및 탈취

> 대응방안
① 출처가 불분명한 이메일, 메시지에 포함된 링크 클릭 금지
② URL 확인
③ 다중인증 사용
④ 팝업창이 웹 페이지 화면 내에서만 움직일 수 있으므로, 확인해보기

- CSS 코드 (Cascading Style Sheets)
> 웹페이지를 꾸미기 위한 코드
> HTML 태그 등에 할 장식의 종류, 크기, 색깔, 폰트 등을 지정

 

보안뉴스

 

북한 해커조직, 실제 주소와 똑같은 피싱 사이트 사용한다? BitB 기술 악용

최근 북한 해커조직이 피싱 공격에 BitB(Browser in the Browser) 기술을 사용하는 등 피싱 관련 기술이 고도화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과거의 피싱 공격은 피싱 사이트의 주소가 실제 사이트와 달

www.boannews.com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