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 - 공식 앱 서명 인증서 유출 관련 공격유형과 사례분석 및 대응방안 |
내용 | - 코드 서명 인증서 유출로 인한 악성코드 유포가 확산 - 앱은 개발자가 자가 생성한 인증서를 기반으로 서명 및 배포 > 구글 플레이스토어(Google Play Store) 등 마켓에 업로드할 때 개발자와 사용자를 구분하는 용도로 사용 > 개발자가 자신이 개발한 앱임을 증명하는 중요한 수단 > 앱 업데이트도 해당 서명을 확인해 일치할 경우에만 가능해 앱 자체를 보호하는 역할 - 앱 서명 인증서 정책은 개인 개발자의 자유로운 앱 개발 및 배포를 위해 만들어짐 > 별도의 인증기관을 두지 않고 개발자가 자체적으로 인증서를 관리 > 장점: 앱 개발과 배포의 진입장벽을 낮추고 사용자들의 폭넓은 앱 경험 가능 > 단점: 서명 인증서 유출 - 공격자가 유출된 서명 인증서를 활용해 수행한 악성 행위 유형 ① 인증서로 악성코드 탐지 회피 > 보안 솔루션의 검사에서 악성으로 탐지되는 것을 회피 ② 인증서의 공식 서비스 앱 데이터 공유 > 안드로이드 시스템에서 ‘콘텐트 프로바이더(Content Provider)’는 앱 간 데이터를 공유 > 콘텐트 프로바이더 설정을 ‘서명 공유’로 지정한 경우, 해당 인증서로 서명된 모든 앱이 콘텐츠 프로바이더에 접근 가능 > 악성 앱으로 내부 사용자 데이터를 취득하며, 실질적으로 공식 앱 공격 기법으로 활용 - 유출된 인증서를 획득해 공격자가 악성행위를 감행한 국내 사례 ① 악성 기능이 추가된 앱을 플레이스토어에 업로드 > 앱 ‘광주버스’ 은 2012년에 서비스를 시작, 2018년 개발자가 개발 및 업데이트를 중단 > 인증서 정보는 폐기하지 않음 > 공격자는 인증서, 코드, 개발자의 아이디 및 패스워드를 취득 > 앱에 악성코드를 추가해 플레이스토어에 재업로드 ※ ‘libAudio.3.0.so native’ 라이브러리 파일을 추가, ‘libMovie.so’라는 추가 라이브러리 파일을 내려받아 구글 아이디 등 개인정보를 탈취 ② NHN 인증서 유출 > 일부 안드로이드의 화이트리스트 기반 보안 솔루션은 비교적 검증이 간단한 서명 정보를 추출해 공식 마켓에 등록돼 있는 서명 정보인 경우 정상적인 앱으로 처리 > 보안 솔루션에서 악성코드로의 탐지를 회피하려는 수단으로 N사 인증서를 사용한 것으로 확인 ※ 기존 금융 관련 보이스피싱 앱인 ‘kaishi’ 악성코드로, 수신번호 조작 및 발신 번호 조작 기능을 수행하며, ‘다운로더(Downloader)’ 악성코드로도 동작 ③ 스마트폰 제조사 펌웨어(Firmware)용 인증서 유출 > 2022.11.12 구글은 Google APVI Report를 통해 플랫폼 인증서가 유출된 정황이 확인됐음을 발표 > 플랫폼 인증서(Platform Certificate)란 시스템 이미지에서 안드로이드 앱에 서명하는데 사용하는 앱 서명 인증서 > 해당 인증서로 서명된 앱은 ‘sharedUserId’를 ‘android.uid.system’으로 지정해 시스템 권한을 획득 > 시스템 권한과 ‘사용자 데이터’(user data) 영역에 접근하는 권한이 부여 > OS와 같은 접근 권한으로 동작할 수 있게 됨 ※ 구글 펌웨어 인증서로 서명됐으며, 해당 제조사 스마트폰에서만 악성 행위를 수행한다는 특징 ④ 공격자의 고의적인 화이트 인증서 생성 시도 > 2021.12.07 구글 플레이스토어에 등록된 앱의 사례로 샘플 분석을 통해 발견 > 2022.02.16까지 주기적으로 버전 코드만 변경해 업데이트 > 서명 정보는 2023.12.05부터 kaishi 악성코드를 서명할 때 사용 ※ 플레이스토어에서 주기적인 업데이트를 제공하고, 해당 인증서를 일정 기간 노출시켜 신뢰를 쌓은 후 악성코드 서명에 사용한 것으로 추정 |
기타 | - 안드로이드는 운영체제 및 마켓의 특성상 앱 개발과 업로드가 자유로움 > 인증 및 관리에 개입이 없어 앱의 유지보수와 보안 관리는 전적으로 개발자에 책임 - 앱 서명 인증서 유출로 인한 악성코드 확산에 대해서는 일부 개선책이 필요 ① 인증서 관리 체계에 대한 인식 제고 > 개발자가 소유 및 관리하는 인증서는 별도의 인증기관이 없음 > 앱 서명 인증서는 자체적으로 더 높은 수준으로 관리해야 하며, 이를 체계적으로 수행할 방안도 마련 필요 ② 보안 솔루션 개선 체계 마련 > 보안 솔루션이 개인과 기업 개발자의 인증서를 쉽게 신뢰하면 현존 위협의 대응에 한계 > 악성 샘플을 기능 기반으로 분류하는 기법을 복합적으로 활용해 악성 행위를 방지 |
보안뉴스
'보안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불법 복제 버전 설치한 우크라이나 기업, 침해사고 발생 (0) | 2023.04.06 |
---|---|
개인정보위, 카카오톡 오픈채팅방 개인정보 유출 관련 조사 착수 외 3건 (0) | 2023.03.15 |
레딧 해킹 사건이 드러낸 한 사람의 중요성 (0) | 2023.02.14 |
한미 합동 사이버 보안 권고문 발표... 북한 랜섬웨어 공격 대응 외 2건 (0) | 2023.02.12 |
VMware ESXi 취약점 패치 필수! 최근 랜섬웨어 유포에 악용 외 2건 (0) | 2023.02.11 |